`99경북 GIS정책포럼 21 세기(世紀) 정보화시대의 경북 GIS구축과 활용방안(方案)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09-18 08:45
본문
Download : `99경북 GIS정책포럼 21세기 정보화시대의 경북 GIS구축과 활용방안.hwp
셋째, RGIS의 계획에 포함된 중요 사업들의 실현가능성 및 사업의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. 특히 국가지리정보시스템의 구축 경험에서 볼 때, 우리 나라의 GIS정책의 위상은 크게 높지 못하다. 따라서 RGIS의 구축을 위해서는 높은 정책적인 위상과 함께 관련기관들이 서로 연계된 통합시스템이 필요하다.
(3) RGIS 계획안의 적절성
RGIS정책의 성공여부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그 추진계획안의 적절성이다. 또한 관련 정보화정책과의 연계도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따 일부 부처는 따로 예산을 확보하여 국가GIS와는 별도로 부처별 GIS를 구축하고 있따 이러한 부처별 정책추진은 국가GIS의 정보통합기능을 고려할 때 그 정책성과를 반감시키는 큰 걸림돌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.
(2) RGIS의 정책적 위상과 다른 정보화정책과의 관계
RGIS의 탁월한 정보통합기능을 고려해 볼 때, RGIS는 지역정보화의 기반이 됨으로 높은 정책적 위상과 함께 현재 추진 중인 다른 지역정보화사업들과 긴밀하게 연계되어야 한다. 둘째, RGIS 구축 및 활용이 관련 지방자치단체 및 투자기관, 민간기업 및 지역 주민들의 opinion(의견)의 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.
순서
1). 정책의 내용
(1) RGIS정책 수립과정의(定義) 합리성
RGIS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관련부처가 모두 참여하고 또한 민간의 참여도 대폭 확대되어야 한다. 첫째, RGIS을 단순히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향후 RGIS의 유통 및 활용과 관련된 부처들의 opinion(의견)의 수렵하여야 한다. 특히, RGIS는 정보사회의 가장 기본이 되는 DB…(drop)
,인문사회,레포트
1). 정책의 내용
Download : `99경북 GIS정책포럼 21세기 정보화시대의 경북 GIS구축과 활용방안.hwp( 84 )
설명
(1) RGIS정책 수립과definition 합리성
1). 정책의 내용(1) RGIS정책 수립과정의 합리성 RGIS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관련부처가 모두 참여하고 또한 민간의... , `99경북 GIS정책포럼 21세기 정보화시대의 경북 GIS구축과 활용방안인문사회레포트 ,






`99경북 GIS정책포럼 21 세기(世紀) 정보화시대의 경북 GIS구축과 활용방안(方案)
레포트/인문사회
RGIS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관련부처가 모두 참여하고 또한 민간의...
다. 최고의사결정기관인 국가GIS추진위원회는 사회간접자본 정보화분과위원회의 한 소위원회에 불과하다. RGIS구축은 먼저 NGIS 및 UIS와 연계되고 또한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에 함께 참여하여 기본계획을 추진하고, 각 사업별 통합성 및 현실성과, 사업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단계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