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aver.kr 침강대 > saver3 | saver.kr report

침강대 > saver3

본문 바로가기

saver3


[[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. ]


침강대

페이지 정보

작성일 22-11-09 06:46

본문




Download : 침강대.hwp




Benioff zone;


레포트/자연과학

●약 45°mean or average(평균) 경사도를 갖고 subduction하는 ceanic plate 상의 지진이 ...

8.3 지진

8.3 지진

Benioff zone;

●약 45°mean(평균) 경사도를 갖고 subduction하는 ceanic plate 상의 지진이 많이 발생하는 zone; 즉 trench에서 육지쪽으로 갈수로 shallow 에서 deep focus earthquake으로 발전 함 (See Fig. 8.4 a,b,c)
● 지진대는 Benioff zone을 따라 최대 심도 약 680 km 까지 발달
● Q-factor; 탄성파 에너지의 전달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
- Q-factor 는 attenuation factor에 역비례
- higer Q ⇒ little attenuation, stronger rocks
- lower Q ⇒ large attenuation, weaker rocks
● Benioff zone은 약 100 km 두께를 갖는 subducting plate의 high Q zone을 나타냄 (See Fig.8.7)
● Tonga arc의 경우 marginal sea (Lau Basin)는 매우 낮은 Q 값; 즉 marginal sea 하부의 mantle은 약하거나 매우 얇음 (See Fig.8.7)

지진발생 메카니즘;
(See Fig.8.9)
i) `a` region;
- downgoing slab의 flexural bending에 의한 tension 및 normal faulting
- 심도 약 25 km 이내
ii) `b` region;
- overriding plate와 underthrusting plate와의 경계면에서의 thrust fault에 의한 지질발생
- 즉 compression (Fig.8.12 참조)
iii) `c` region;
- descending slab의 internal deformation에 의해 발생
- 즉 slab의 표면으로부터 약 30-40 km하부에 주요 지진대 존재
- 마치 double Benioff zone 존재하는 것 처럼 나타남 (See Fig.8.13)…(drop)
8.3 지진 Benioff zone; ●약 45°평균 경사도를 갖고 subduction하는 ceanic plate 상의 지진이 ... , 침강대자연과학레포트 ,

순서

침강대_hwp_01.gif 침강대_hwp_02.gif 침강대_hwp_03.gif 침강대_hwp_04.gif 침강대_hwp_05.gif 침강대_hwp_06.gif

침강대

Download : 침강대.hwp( 71 )








설명



,자연과학,레포트


다.
REPORT 73(sv75)



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.

saver.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.
따라서 상품·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.
[[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]]

[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@hong.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.]
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, defamation, of rights,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[ admin@hong.kr ]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.
Copyright © saver.kr All rights reserved.